이론의 배경
올란도 Orlando는 1926년에 태어나 미국 뉴욕에 위치한 뉴욕 의과대학의 로워 5번가 병원 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를 받았습니다. 뉴욕 브룩클린의 세인트 존스 대학에서 학사를, 뉴욕 콜롬비아대학교 교육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석사학위 취득 후에는 코네티컷 Connecticut 주 뉴헤이븐의 예일대학교 간호대학에서 교수로서 8년 동안 일했으며, 1958년까지 '간호교육의 기본 교과과정 내 정신건강 개념의 통합'이라는 미국 연방정부 사업의 중심 연구자로 일하였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1958년 첫째 저서인 [역동적 간호사-환자 관계; 기능, 과정 및 전문직 간호실무의 원칙] The Dynamic Nurse-Patient Relationship: Function, Process and Principles of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을 통해 보고되었으며, 이후 올란도 이론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1962년부터 1972년까지 매사추세츠 벨머트의 맥리안 병원에서 임상간호 상담가로서 근무하던 시기에 올란도는 간호사와 간호사, 간호사와 다른 요원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이런 활동들이 환자를 돕는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습니다. 올란도의 간호과정 이론은 1950년대 후반, 올란도가 예일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자로 있을 때 형성되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 교과과정 내에 정신건강의 원칙을 통합하는데 강화요인과 방해요인을 확인하는 것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효과적인 간호실무를 유도하는 원칙이 발견되었습니다. 올란도는 간호가 독특한 기능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전문직이 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올란도 이론은 간호사의 관심을 의학적 진단과 자동적인 행동으로부터 환자의 즉각적인 경험 및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간호사의 활동으로 전환했습니다. 올란도는 자신의 이론에 능동적인 환자의 참여를 명확하게 통합시킨 이론가 중 한 사람입니다. 올란도는 예일 프로젝트를 하는 동안 간호사와 환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3년 동안 관찰한 자료에 포함된 2,000개의 간호사-환자 기록 내용을 검토하여 간호를 '좋은 간호'와 '나쁜 간호' 등 2가지의 상호 배타적 형태로 분류하였습니다.
올란도의 연구가 대인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간호의 정의에 있어서의 공통점 때문에 페플라우 이론과 유사성이 있으며, 즉 페플라우와 올란도는 모두 간호를 '환자를 문제해결의 한 통합적 부분으로서 포함시킨 역동적인 과정'으로 본 점과 이들의 이론이 직접적인 환자들과의 작업에서 발생한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페플라우의 사고가 설리반Sullivan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은 반면, 올란도의 사고와 이론은 콜럼비아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관련을 맺었던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론의 개요: 간호과정이론 Nursing Process Theory
올란도의 이론은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상호관계 즉 서로의 말과 행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 이론은 간호사로 하여금 이 과정 동안 무엇이 어떻게 일어나며 어떻게 환자를 돕는 과정과 관련되는가를 이해하도록 합니다. 이과정에서 환자는 능동적 참여자입니다. 환자는 독특한 건강 상황 때문에 간호사가 제공하는 도움은 각 환자의 즉각적인 욕구 need에 특별히 맞춘 것이어야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가 자신의 긴장과 욕구를 간호사의 도움 없이 명확히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인식 없이 환자의 긴장을 발견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야기된 간호의 지연은 결국 환자의 상태를 위협하게 되고 환자의 불편감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환자의 행동은 긴장이나 충족되지 못한 욕구의 증거입니다. 그러므로 만일 환자가 말을 할 수 없거나 무의식 상태일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비언어적 의사소통, 즉 환자의 상태나 행동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며, 가족이나 환자에게 중요한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환자와 간호사는 모두 인간이기 때문에 상호관계 중에 상호작용 과정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서로의 말과 행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데 각 상황마다 독특합니다. 환자가 간호사로부터 도움을 받고 간호사를 신뢰하기 시작했다면 이들 간의 의사소통은 더욱 자연스럽고 명확해집니다. 환자와의 직접적인 경험으로부터 얻게 되는 환자의 행동, 생각 및 감정에 대한 간호사의 지각은 환자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자료가 됩니다.
간호과정 이론의 주요개념 및 원리는 전문직 간호기능, 환자의 표현적 행위, 즉각적 반응, 신중한 간호과정, 개선 등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문직 간호기능: 환자에게 필요한 즉각적인 도움 혹은 욕구를 발견하고 충족시키는 것 -환자의 표현적 행위: 충족되지 못한 도움의 필요에 대한 강한 표현 -즉각적 반응: 환자의 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반응 -신중한 간호과정: 환자의 행위는 간호사에게, 간호사의 행위는 환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 다른 간호과정과 달리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등의 직선적 과정이 아니고 전후로 왔다갔다 하는 반복적인 과정 -개선: 환자행위의 개선 |
이론의 적용
올란도 이론은 간호실무에 적용 가능하지만 간호학계에서 실제 적용된 근거는 문헌상에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올란도의 간호과정은 간호사-환자의 관계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관절은 과정 규율을 통해 환자의 고통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도움에 대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자신의 행동이 실제적으로 고통을 경감시켰는지를 알기 위해 다시 관찰을 해야 하며, 만약 고통이 경감되지 않았다면 다시 간호과정을 시작해야 합니다. 올란도 이론은 전문직 간호가 실행해야 할 과정의 개념적 틀로서 간호과정은 간호교육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간호사가 간호과정을 조절할 수 있고 환자행동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정규율에 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올란도는 과정규율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를 자가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과정기록 process recording을 개발하였습니다. 간호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평가와 연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환자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표현하는 방법과 그 정확성 및 증거들을 알 수 있도록 설계한 것입니다. 과정기록은 현재에도 간호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육도구입니다. 올란도 이론은 간호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상황에 적용되었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올란도 이론의 타당성이 경험적 증거로 뒷받침되었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응이론 Adaptation Model-칼리스타 로이 Callista Roy(1939~ ) (0) | 2023.10.16 |
---|---|
간호이론의 성장기-도로시 오렘 Dorothea E. Orem(1914~ ) (0) | 2023.10.13 |
간호이론의 신생기_도로시 존슨 Dorothy E. Johnson(1919-1999) (1) | 2023.10.11 |
버지니아 핸더슨 Virginia Henderson (1897~1996) (0) | 2023.10.10 |
리디아 홀 Lydia E. Hall(1926~1969) (1)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