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의 배경
핸더슨 Henderson은 1897년 미국의 미주리 Missouri주 캔자스 시티에서 출생하였으며 법률가인 부친을 따라 주로 버지니아 Virginia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병들고 부상당한 군인들을 돕고 싶은 바람으로 간호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워싱턴의 육군간호학교 Army School of Nursing를 1921년 졸업하였습니다. 그 후 뉴욕의 헨리가 방문 간호서비스 Henry Street Visiting Nurse services에서 방문간호사로 일하였습니다. 1926년에는 콜럼비아 대학 사범대학에서 간호교육 분야의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핸더슨은 1930년부터 1948년까지 콜럼비아 사범대학에 재직하였으며 1953년부터 예일대학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고 은퇴 후 예일대학의 연구 명예교수로도 활동하였습니다. 1966년 출간된 [간호의 본질] The nature of Nursing: A Defini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에는 간호의 일차적이고 고유한 기능에 대한 핸더슨 자신의 개념이 기술되어 있으며 1991년 개정판이 출판되었습니다. 1978년 제6판을 발행한 [간호의 원리와 실제]는 많은 대학에서 교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핸더슨이 간호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되기까지는 2가지 중요한 계기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간호학 교과서 개정에 참여했던 일이고, 다른 하나는 의료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능력 있는 간호를 보장하기 위한 면허 제도가 시행되지 않고 있는 곳이 많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된 일 이었습니다. 그는 간호실무의 중요한 학습자료인 교과서에 간호가 명확하고 확실하게 기술되고 간호의 원리와 실무는 전문직의 정의로부터 구축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었습니다. 또한 핸더슨은 면허제도를 통해서 무능력자와 무자격자로부터 의료소비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입법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기여하였습니다. 핸더슨이 갖고 있는 간호에 대한 중점적인 관심은 건강을 유지하거나 회복 또는 평화로운 죽음을 맞기 위한 기본적인 활동을 하는 개인을 돕는 일에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의를 강화하기 위한 14가지 기본적인 간호요구의 구성요소를 제안하였습니다.
이론의 개요 : 간호의 기본원리 이론 Basic Principles of Nursing
핸더슨은 이론의 근거가 되는 가정을 직접적으로 주장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저술을 통해 볼때 다음의 가정을 함축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간호사가 독립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서 환자간호에 대한 권위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간호사는 건강한 사람 혹은 아픈 사람을 도와줄 수 있는 고유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의료팀의 일원으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의료인간의 협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생물학적, 사회과학적 측면의 지식을 갖고 있으며 기본적인 인간욕구를 사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적인 인간욕구는 14가지 간호요구 요소로 설명되고 모든 가능한 간호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간호 요구란 다음의 14가지 행위로써 환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돕는 행위입니다. 핸더슨이 제시한 14가지 기본적인 간호의 욕구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6년 핸더슨은 [간호의 본질]에서 "간호의 고유한 기능은 아프거나 혹은 건강한 개인을 지지하여 스스로 필요한 힘이나 지식으로 도움없이 건강유지와 회복에 필요한 여러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가능한 한 빨리 환자가 독립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라고 간호에 대하여 정의하였습니다.
이론의 적용
핸더슨에 의하면 간호사는 14가지 기본적인 간호 내용 각각에 대해 사정, 계획, 중재, 평가를 함으로써 환자에게 독립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입니다. 간호과정은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사정 단계에서 환자의 14가지 기본 요구를 사정하고 계획은 환자의 요구에 따라 계속 수정되어야 하며, 다른 사람이 간호할 때에도 같은 절차를 거칠 수 있도록 반드시 기록되어야 합니다. 계획단계는 환자의 요구에 근거하며 의사의 처방과도 일치해야 하고 잘 이루어진 계획은 보건의료팀과 통합이 잘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중재단계에서는 질병으로부터 회복되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평화로운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환자를 돕는 것입니다. 중재는 생리적 원리에 따르되 다양한 지식과 지적 능력이 활용되어 개별적으로 수행하게 되나 환자의 독립적 기능 정도에 따라서 환자를 평가해야 합니다. 핸더슨은 간호사는 전문가로서 과학적 실무를 위해서 전문대학이나 대학 수준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교육의 가치는 지식을 얻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니고 더 높은 교육적 환경에서 개인적 개발을 더 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 [간호의 본질]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동안 익혀야 할 3단계의 교과과정을 설계하였습니다. 첫째 단계는 환자의 기본적인 욕구에 근거하여 간호계획을 세워야 함을 강조하고 이 시기에는 병리적 상태나 질병에 대한 이해보다는 환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알아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둘째 단계는 신체가 균형을 잃거나 병리적 상태를 경험하는 동안 환자를 도와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웠습니다. 셋째 단계는 환자중심 그리고 가족 중심의 간호가 지도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핸더슨의 고유한 간호기능에 대한 정의는 아직도 넓게 읽히고 있으며 간호가 전문과학 분야로 발전하는 데 기초가 되었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과정이론 Nursing Process Theory_아이다 진 올란도 Ida Jean Orlando(1926~) (0) | 2023.10.12 |
---|---|
간호이론의 신생기_도로시 존슨 Dorothy E. Johnson(1919-1999) (1) | 2023.10.11 |
리디아 홀 Lydia E. Hall(1926~1969) (1) | 2023.10.09 |
간호이론의 신생기(1950년~1970년) (1) | 2023.10.06 |
간호이론의 여명기(1950년 이전) (1)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