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의 배경
오렘 Orem은 1914년 미국 메릴랜드 Maryland 볼티모어 Baltimore에서 출생하였습니다. 1930년대 초 워싱톤의 프로비던스 Providence병원 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를 받았으며, 1939년과 1945년에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오렘의 간호철학은 이때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와 관련 있는 성빈센트 드 폴 St. Vincent de paul의 자선 수녀단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오렘은 1940년부터 1949년까지 디트로이트에 있는 다른 프로비던스 병원 간호과정과 부속 간호학교의 간호학 과장을 역임하였으며 1949년부터 1957년까지 인디애나 주립 보건원과 병원에서 근무하였고 이 시기에 간호실무에 대한 정의를 개발하였습니다. 1959년 오렘은 인간에게 간호가 필요한 이유와 인간이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중요하게 인식한 것이 간호의 개념과 이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키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즉 오렘은 간호의 정의를 '간호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라고 하는 간호의 목표와 초점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간호가 필요한 조건을 '사람이 건강 때문에 도움이 필요할 때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무능력 상태일 때'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오렘은 간호를 창조적 간호 설계로서의 예술로 보는 나이팅게일 이후 여러 간호학자들의 관점을 지지하며 동시에 직업의 한 분야로서 간호라는 관점을 중시하였습니다.
오렘의 간호이론은 오렘 자신의 개인적 연구와 학생, 실무자, 연구자, 교육자 및 행정가들과의 협동 작업을 통해 4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발전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메리카 가톨릭대학 간호학 교수들로 구성된 간호모형 위원회와 이것이 발전된 간호발전 학술 모임Nursing Development Conference Group (NDCG)이 이론 발전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오렘의 이론은 명백하거나 함축적인 전제를 근거로 가설적인 구성개념으로부터 발전시킨 연역적 이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론의 근거는 체계이론, 발달이론, 상호작용이론 모두에 두고 있으며 어느 한 이론만을 따르지는 않고 있습니다. 오렘 이론의 체계이론적 특징으로는 인간을 총체 또는 통합체로 정의하고 있으며, 인간을 자기간호라는 형태의 활동을 통해 자기유지 및 자기조절을 하는 존재, 즉 개방체계적 성격을 가진 존재로 보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발달이론적 특징으로는 발달적 자기간호 요구에서 성장, 발달 및 성숙의 특징이 언급되고 있으며, 발달상태에 의해 자기간호 능력이 조절된다고 설명한 점과 발달의 형태 및 방향이 설명된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상호작용이론의 특징으로는 개인의 자기간호 능력과 자기간호 요구의 관계는 가치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의해 결정되고 인간을 신중한 존재로서 자기 결정을 할 수 있는 존재로 설명하며 인간의 자기간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간호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으로 보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론의 개요: 자기간호 결핍 간호이론 Self-Care Deficit Theory of Nursing
오렘은 1995년 자기간호결핍 간호이론을 하나의 총괄 이론으로 만들었습니다. 자기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인간의 자기간호 활동 능력과 자기간호 요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총괄이론으로서 자기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서로 관련된 세 이론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자기간호이론, 자기간호결핍이론, 간호체계이론입니다. 자기간호이론은 자기간호 활동과 개인, 집단의 기능 및 발달 사이에는 관계가 있다는 철학에 근거합니다. 이 이론에서는 자기간호에 대한 2가지 생각 즉 학습된 행위로써의 자기간호와 신중한 활동으로서의 자기간호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오렘이 제시하는 자기간호 결핍 간호이론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인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재능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존을 위해 활약하고 자신과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신중한 투입이 필요합니다. 둘째, 신중하게 활동하는 힘인 인간의 능력은 욕구를 규명하고 투입이 필요할 때 자신과 남을 간호하는 형태로 활성화 됩니다. 셋째, 성숙한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고 기능 조절을 위한 투입과 관련하여 자신과 남에 대한 간호활동 결핍의 제한성을 경험합니다. 넷째, 인간의 능력은 자신과 남에 대한 생존요구를 확인하며, 필요한 투입의 방법과 수단을 발견, 발전시키고 전파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섯째,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는 집단으로서의 인간은 자신과 남에게 필요한 투입이 결핍된 집단 구성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일을 계획하고 책임을 분담합니다. 간호체계이론은 치료적 자기간호 요구와 자기간호에 관여된 활동 및 체계들을 기술하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간호체계에 대한 기본 설계는 돕는 체계 helping system입니다. 간호체계는 사회적 위치, 역할, 역할관계, 관련된 사람, 기술적 요소 등과 같은 간호상황적 요소로 구성되고 이 요소들은 서로 관계를 맺으며 관계 형성 방식이 간호체계의 구조를 나타냅니다.
이론의 적용
오렘의 자기간호이론은 다른 이론들보다 훨씬 더 많이 간호실무의 기초로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존스 홉킨스병원에서는 자기간호이론을 일부 외래 클리닉에 적용하여 심장과 당뇨 클리닉에서 임상간호 전문가들이 이 이론에 의해 실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텍사스 대학교의 대학원 교과과정에는 자기간호이론을 양로원의 특수환자에게 적용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기간호의 개념은 청소년 알코올중독자,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 울혈성 심부전증 환자, 당뇨 환자, 신장이식 환자, 복막투석 환자, 어린이 호스피스 간호등에 적용되었습니다. 자기간호결핍 이론은 환자의 자기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를 교육하고 간호를 의학과 구별하기 위한 간호과정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뉴저지의 벧 이스라엘 의료원은 자기간호결핍 이론에 근거한 간호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병원의 국립 정보센터에서는 오렘의 논문 및 오렘 이론에 대한 연구나 글을 수집하여 관심 있는 사람에게 정보를 주고 새로운 소식도 전해주고 있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 장애 대상자 간호-고혈압 (2) | 2023.10.17 |
---|---|
적응이론 Adaptation Model-칼리스타 로이 Callista Roy(1939~ ) (0) | 2023.10.16 |
간호과정이론 Nursing Process Theory_아이다 진 올란도 Ida Jean Orlando(1926~) (0) | 2023.10.12 |
간호이론의 신생기_도로시 존슨 Dorothy E. Johnson(1919-1999) (1) | 2023.10.11 |
버지니아 핸더슨 Virginia Henderson (1897~1996) (0)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