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데가르드 페플라우(Hildegard E. Peplau) (1909~1999)
이론의 배경
페플라우는 1909년 미국 펜실바니아에서 출생하여 1931년 펜실바니아의 포츠타운 병원 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를 받았으며, 1943년에는 베닝톤대학 Bennington College, Vermont에서 심리학으로 학사를, 1947년 콜롬비아대학교 교육대학에서 정신간호학으로 석사, 1953년에는 동대학에서 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포츠타운 병원에서 수술실 감독으로 일한 경험이 있으며, 벨뷰와 체스트넛 롯지 정신병원에 근무할 때에는 프롬-리히만F. Fromm-Riechman이나 헤리 설리반 H. S. Sullivan 등의 정신과 의사와 알게 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육군 간호사로 신경-정신 병원에 근무하였으며,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에는 대학원 과정의 정신간호학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페플라우는 미국간호협회 회장(1970~1972)과 세계보건기구 WHO 전문가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간호계에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저서로는 1952년 [간호대인관계론] Interpersonal Relations in Nursing과 1964년 [환자상담의 기본원리] Basic Principles of patient Couneeling 등을 출판하였습니다.
페플라우의 개념틀은 나이팅게일 이후 발표된 첫 번째 간호이론 입니다. 페플라우는 간호지식체에 의해 실무가 개선되다는 전문직관을 확립함으로써 간호사 전문직 학문으로 발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페플라우는 다양한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으로부터 끌어온 개념을 합성, 재조직 및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이 형성되며, 이것이 간호과학을 성장시킨다고 믿었습니다. 페플라우는 행동과학과 심리학의 모형으로부터 빌려온 지식을 이론 개발에 사용하여 과거 질병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사건, 감정, 행위 등의 심리학적 의미를 찾고 이를 간호중재로 구체화하였습니다.
페플라우가 1930~40년대 베닝톤대학에서 연구한 대인관계 이론은 후에 자신의 이론에 기초가 되었고, 그의 이론은 헤리 설리반의 대인관계 발전 모형 interpersonal development model의 성격발달과 자기체계 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페플라우의 이론은 대인관계 이론뿐 아니라 자신과 제자들의 임상 경험에도 근거하고 있어 페플라우 자신과 제자들의 실제적인 간호사-환자 관계에 대한 자료로부터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페플라우의 이론은 정신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모든 간호가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의 대인과정과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이론은 모든 임상 간호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론의 개요: 대인관계 간호이론 (Interpersonal Nursing Theory)
페플라우의 이론은 대인관계 과정과 간호사-대상자 사이에 발전된 치료적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 대인관계 간호이론 입니다. 이 이론에서 간호는 의미 있고 치료적인 대인관계 과정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페플라우는 대인 과정의 구조적 개념으로써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단계와, 이 관계 속에서의 간호사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들이 정신역동적 간호 psychodynamic nursing의 기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신역동적 간호psychodynamic nursing care는 간호의 모든 전문 영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의 어려움은 사람의 일생을 통해 다양한 강도로 계속 나타납니다. 인간은 감각적 욕구로부터 긴장과 불안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생긴 에너지를 긴장이나 불안 문제의 확인, 이해 및 생산적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보편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인간 행동은 만족감과 안정감의 차원에서 볼 때 합목적적이며 목표추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와 환자의 관계에서 그 상호작용으로부터 공통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의사소통 방법을 터득하여 그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때 효과적인 상호작용의 결실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상자가 가진 행동의 의미는 대상자의 욕구를 확인하는 하나의 근거이고, 또한 모든 사람은 어떤 위기에서든지 과거 경험했던 위기에서 효과적이었던 방법으로 행동하게 됩니다.
이상과 같은 가정 아래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은 간호실무와 간호사-대상자 관계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요인으로써 대인관계적 요인, 인간내적 요인 및 특수한 임상현상 등을 들고 있습니다. 이 개념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한 개념의 변화가 다른 개념의 변화에 반영됩니다. 이 이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발전적인 간호사-대상자 관계가 대상자의 성장 및 나아가 건강을 유도한다는 것입니다. 대인관계의 초점 interpersonal focus는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 발생하는 대인관계 과정입니다. 이것은 개인을 관심의 단위로 하는 다른 간호이론들과 중요한 대조를 이룹니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대상자 요인에 대한 사정뿐 아니라 간호사 자신에 대한 자기 성찰 self-reflects도 중요합니다. 대인관계 과정은 간호사-대상자 관계, 의사소통, 통합패턴 및 간호사의 역할 등의 개념을 포함합니다. 치료적인 간호사-대상자 관계는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론의 적용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간호이론은 간호사-대상자의 치료적 관계를 간호의 핵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간호실무, 특히 정신건강과 정신간호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페플라우 이론을 적용한 간호사정에서는 이론의 다양한 개념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특히 대인관계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 관계의 현 단계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호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의사소통과 통합패턴,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수준과 대상자-체계 관계의 수준에서 발생하는 내용들을 깨달아야 합니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나타난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할 뿐 아니라, 자기성찰과 자기 자각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페플라우 이론은 임상 프로그램을 조직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건강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의료서빕스가 필요한 만성 정신질환자에게 사례관리 case management 서비스와 상담을 제공하고 있는데 페플라우 이론의 원칙이 사례관리의 원칙과 일치하고 있음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는 관계의 단계를 나타내는 관계 양식, 페플라우의 학습단계에 근거한 양식, 대상자에 의해 동의된 문제들만 기록한 간호계획 등이 기록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페플라우의 이론에 근거한 연구는 간호사와 대상자 요인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특히 인간 내적요소가 아닌 대인적 요소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페플라우는 초기의 이론 개발 과정에서 근거이론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페플라우는 간호사-대상자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과정기록이나 간호과정 양식의 사용을 주장하였습니다. 이 이론에 근거한 초기 연구들은 이러한 과정기록을 사용하였으며 사례연구로 발표되었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과정이론 Nursing Process Theory_아이다 진 올란도 Ida Jean Orlando(1926~) (0) | 2023.10.12 |
---|---|
간호이론의 신생기_도로시 존슨 Dorothy E. Johnson(1919-1999) (1) | 2023.10.11 |
버지니아 핸더슨 Virginia Henderson (1897~1996) (0) | 2023.10.10 |
리디아 홀 Lydia E. Hall(1926~1969) (1) | 2023.10.09 |
간호이론의 여명기(1950년 이전) (1)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