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식중독이라는 노로바이러스는 어떤 질병인지, 증상과 치료방법 및 예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비슷한 로타바이러스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노로바이러스란 무엇인가?
겨울철에 잘 발생하며 대변-구강, 오염된 물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병리는 소장의 융모상피세포를 침범하는 로타바이러스와 비슷하고 소장에서 수분 흡수와 분비 불균형을 보이며 복합 탄수화물 흡수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으로는 복통, 오심과 구토, 열, 혈액 없는 묽은 설사가 2~3일간 지속되며 식중독과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잠복기는 12~48시간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감염력이 높기 때문에 진단받은 가족 구성원이 있으면 공간을 분리하여 생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단적 검사로는 대변검사 및 PCR 분석으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예방백신도 없습니다. 감염이 되면 며칠 내로 자연적으로 증상이 호전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복통, 오심과 구토, 설사가 지속되면 증상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인 설사로 인해 탈수가 올 수도 있어 충분한 수분섭취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란 무엇인가?
찬 기온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대부분 겨울철에 발생합니다. 대변-구강 감염되는 질환으로 노로바이러스와 달리 로타바이러스는 병원감염의 주요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리는 소장점막 상피세포를 침범하며 점막위축과 심각한 염증성 변화와 함께 점막 구조의 심각한 변형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임상증상으로는 경증에서 중등도의 열이 발생하고 묽은 변과 구토, 설사는 5~7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잠복기는 48시간이며 노로바이러스처럼 감염력이 높기 때문에 격리가 필요하며 접촉 시 철저한 손 씻기를 해야 합니다. 로타바이러스는 생후 8개월 이전에 접종하는 생백신(로타텍, 로타릭스)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의 차이
감염경로, 증상, 발생시기 등은 비슷하나 노로바이러스는 전연령층에 발생하며 로타바이러스는 5세 이하 아동에게 발생하는 게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는 특히 영아에게 발생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며 병원감염이 대부분이라 의료진의 손 씻기가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로타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와 달리 예방백신이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생후 8 개월 이전에 로타바이러스 생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호중재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 모두 설사로 인한 탈수가 올 수 있으므로 증상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제공자에게 교육시켜야 할 내용으로는 탈수증상(소변횟수, 젖은 기저귀 수), 섭취한 수분량 및 배변의 양과 횟수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수액 유지와 계속적인 소실에 대한 보충액 투여방법을 포함한 경구 수화요법과 관련된 교육도 중요합니다. 경구 수화용액은 소량씩 자주 투여해야 합니다. 구토가 심하지 않다면 경구 수화용액은 금기가 아닙니다. 설사가 지속되고 탈수증상이 있는 있으면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정확한 체중을 측정해야 합니다. 아동은 12~48시간 금식하고 정맥수액요법을 받습니다. 간호사는 정확한 수액과 전해질 농도가 주입되는지, 주어진 시간에 원하는 양을 투여하기 위해 주입률이 적당한지, 정맥주사부위가 유지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설사는 피부에 많은 자극을 주므로 기저귀가 닿는 부분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가 필요합니다.
예방
감염은 대부분 대변-구강 경로에 의해 전파되므로, 설사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식수의 오염 방지, 음식물의 세심한 준비 등에 대해 부모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문 주위 위생에 대한 세심한 주의, 오물이 묻은 기저귀의 처리, 적절한 손씻기 및 감염된 사람과의 격리도 감염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신을 통해 아동의 설사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06년 미국은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국가 필수 예방접종 목록에 포함하였고, 이후 로타바이러스 유행 기간이 현저히 줄었으며, 5세 미만 아동의 설사로 인한 병원 입원율이 76% 감소하였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확장증은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 하는게 좋을까? (1) | 2024.09.25 |
---|---|
초기 치매 증상과 자가진단 방법을 알아보자 (1) | 2024.09.12 |
폐렴의 정의 및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2.05 |
가와사키병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2.01 |
중이염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