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근터널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TS
1. 병태생리
수근터널증후군은 상지에서 가장 흔한 신경 압박성 질환입니다. 수근터널은 수근골과 굴곡지대라 불리는 섬유성 조직 사이에 형성된 딱딱한 통로를 말합니다. 수근터널 내에서 활액으로 싸인 9개의 건 (tendon)과 정중신경은 한 덩어리가 되어 있습니다. 수근터널증후군은 활액막이 붓거나 두꺼워져 터널의 공간이 감소되어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지연성 정중신경 마비입니다.
2. 원인
건초염, 외상, 류마티스관절염, 통풍, 유상통풍, 말단비대증, 임신 시 부종, 월경 전 부종, 비만증, 당뇨병, 갑상선기능이상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정중신경의 압박을 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명확한 원인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직업별로는 건축공, 공장 노동자, 벽돌공, 현금 출납원, 음악가, 비서, 컴퓨터 사용자처럼 수근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흔합니다. 수근터널증후군은 여성의 수근터널이 남성보다 좁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5배 더 많고 40~50대에 많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손에 호발하나 양쪽에 생기기도 합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정중신경마비가 옵니다.
3. 임상증상
손의 통증과 감각이 무뎌집니다. 수면 시 눌리거나 구부러지면서 통증이 밤에 더 심해지며, 팔, 어깨, 목 혹은 가슴으로 통증이 방사됩니다. 손의 힘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고, 정중신경 분포부위에 이상감각과 감각감소가 나타날 수 있으며 손을 꽉 쥐거나 사용할 때 증세가 악화됩니다. 감각변화가 운동변화보다 수주 혹은 수개월 전에 나타납니다. 정중신경이 나뉘는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인접 부분까지 감각 및 운동의 변화가 나타나 섬세한 움직임이 어려워집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바닥 융기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신체검사 시 Tinel 징후, Phalen 검사 및 수근 압박검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1) Tinel 징후
수근의 굴근 표면을 지나는 정중신경 위를 가볍게 타진하면 정상에서는 무반응이나 수근터널증후군에서는 정중신겨이 자극받아 3개 반 정도의 손가락에 저린감, 즉 양성반응을 보입니다.
2) Phalen 징후
손목을 90˚정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양손등을 마주한 채 60초 정도 있게 하면 수근터널증후군이 있는 경우 그 부위가 무감각해지고 저립니다.
3) 수근 압박검사
수근의 굴근 표면에 약 30초 가량 손으로 압박을 가했을 때 감각이상을 호소하면 양성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X-선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EMG (electromyography)를 이용합니다. 확진을 위해 MRI, 초음파검사를 시행합니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정중신경의 비대입니다.
4. 치료
1) 비수술요법
약물요법과 팔목고정술 등
2) 수술요법
개방성 수근터널해리술 ( Open carpal tunnel release, OCTR), 내시경 수근터널해리술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등
5. 간호
1) 수술 전 간호
수술과정 및 수술 후 기대되는 변화를 대상자에게 교육합니다.
2) 수술 후 간호
ECTR이 OCTR보다 덜 침습적이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OCTR에 비해 수술 후 더 오랫동안 통증과 저린 감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합병증은 드물게 나타납니다. 수술 후 배액과 조임을 위해서 드레싱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ECTR을 한 경우 드레싱부위는 매우 적습니다. 수술 후 종창을 감소하기 위해 며칠 동안 손과 팔을 심장위치보다 높게 상승시킵니다. 수술 직후 매 시간마다 손가락의 신경과 혈관상태를 점검합니다. 수술받은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자주 움직이도록 합니다. 회복기 동안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수술 후 4~6주 동안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것 같은 손의 운동은 금합니다. 대상자는 수주 내지 수개월 동안 불편감이나 약화가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3) 수근터널해리술 후의 가정간호
- 손의 순환상태를 점검합니다. 냉감이나 이를 동반한 부종 또는 부종이 심해 손가락을 구부리기 힘든 상태등이 있으면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 가능한 환측 팔을 상승시킵니다.
- 깨어있는 동안 매 시간 손가락의 굴곡와 신전운동을 합니다.
- 감염징후를 관찰합니다. (발열 및 통증 등)
- 통증 감소를 위해 처방된 약을 투여합니다.
- 2개월 동안 물건 들어올리기를 금합니다.
-봉합을 제거할 때까지 수술부위에 물이 닿지 않게 합니다.
● 무지외번증
무지외번증은 가장 흔한 발의 기형입니다. 엄지발가락이 신체 정중선에서 벗어나 다른 발가락 쪽으로 각이 형성된 것을 말합니다. 선천적이지만 관절염이나 잘 맞지 않는 신발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변형이 악화되면 뼈의 돌출이 커지고 통증이 생깁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습니다. 치료로 간단한 수술인 건막류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은 발근육의 굴곡진 부분인 발바닥 근막에 생긴 염증입니다. 호발 연령은 중년과 노인, 특히 육상선수에게 많으며, 비만이 위험요인입니다. 바닥을 디딜 때 발바닥 통증을 호소하고, 체중부하가 있으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치료는 휴식, 얼음찜질, 신전운동, 구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을 묶는 것, 지지가 잘 되는 신발을 신는 것 등입니다. 대증요법으로 대부분 치유가 됩니다. 통증과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 NSAIDs와 steroid를 사용합니다. 보존적 방법이 성공하지 못하면 염증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수술을 시행합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질환 대상자 간호 - 파킨슨병 (3) | 2023.11.02 |
---|---|
중추신경계(뇌) 장애 대상자 간호 - 뇌졸중 (2) | 2023.10.31 |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 류마티스관절염 (1) | 2023.10.27 |
유방장애 대상자 간호- 유방암 (1) | 2023.10.26 |
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만성신부전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