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동맥장애
(1)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은 동맥벽이 단단해지고 두꺼워져 탄력성이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동맥경화증은 노화와 함께 혈관벽의 퇴행성 변화로 초래됩니다. 동맥벽이 섬유화 되고 여기에 콜라겐과 칼슘이 축적되며, 혈관 중막의 탄력섬유는 적어지고 칼슘 축적으로 석회화되면서 혈관의 탄력성과 유연성이 감소되게 됩니다. 그 결과 말초혈관의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고 혈관 내 혈류가 감소합니다. 세동맥과 세동맥 혈관근육층이 광범위하게 섬유화 되고 내피가 비후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죽상경화증
죽상경화증은 동맥내막에 지방, 칼슘, 혈액성분, 탄수화물, 섬유성 조직(죽종) 등이 축적되어 진행되며 전신에서 나타납니다. 죽상경화증은 어떤 특정한 한 가지 원인이나 기전에 의해서가 아니라 복합적인 과정으로 추측됩니다.
-병태생리: 동맥 내 죽상경화증으로 혈관강이 좁아지고, 혈전증으로 혈관이 폐색되며 동맥류로 진전하거나 혈관이 파열할 수 있습니다. 또 좁아진 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는 장기의 영양결핍으로 인해 조직이 섬유화 될 수 있습니다. 죽상경화증이 어떻게 진전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형태학적으로 죽상경화성 부위는 지방띠, 섬유성 반의 두 가지 복합된 유형으로 나타납니다. 죽상경화증은 일차적으로 주동맥에서 동맥가지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가 다양하게 침범될 수 있습니다. 대개 주동맥에서 나누어지는 분기점의 동맥가지에서 잘 생기고 세동맥들로 이환되지 않습니다. 죽상경화증으로 협착이 되는 가장 흔한 부위는 경동맥 분기점과 척추동맥이 시작되는 곳입니다.
-위험요인: 나이나 성별 같은 조절 불가능한 요인과 식이,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흡연, 운동부족, 정서적 스트레스, 호르몬(에스트로겐), CRP 상승 등과 같이 조절 가능한 요인이 있습니다.
-임상증상: 죽상경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임상증상은 침범된 장기나 조직에 따라 다릅니다.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증, 일시적 뇌허헐성 발작과 실신을 포함한 뇌혈관 질환 등이 나타납니다.
-치료와 간호: 지방의 총량을 전체 열량의 30% 이내로 줄이고 불포화지방을 섭취, 섬유질 풍부한 식품 섭취, 혈청지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 복용, 금연,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합니다.
(3) 동맥류
-원인: 동맥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동맥의 중막퇴행입니다. 위험요인에는 성별, 고혈압, 흡연, 가족력, 유전적 소인 등이 있습니다. 그 외 선천성 기형, 매독성 대동맥염, 감염, 결체조직질환 등이 대동맥류를 일으킵니다.
-병태생리: 동맥류는 동맥벽이 부분적으로 약해져 늘어난 상태를 말하며 대동맥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동맥에도 이환될 수 있습니다. 동맥의 중막이 약해지면 내막과 외막도 늘어나고 동맥 지름이 늘어나면 동맥벽에 가해지는 긴장이 더 증가하여 동맥류가 점점 더 커집니다. 동맥류가 심해지면 동맥파열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분류: 동맥류에는 진성 동맥류와 가성 동맥류가 있으며, 진성 동맥류는 동맥벽이 확장된 모양에 따라 낭상 동맥류, 방추상 동맥류, 박리형 동맥류로 분류합니다.
-임상증상: 복부대동맥류는 전형적으로 무증상이며 정기 신체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됩니다. 복부박동(배꼽 근처에서 박동이 있는 복부 덩어리를 볼 수 있고 청진 시 잡음이 들릴 수 있음), 통증(심한 복부통증), 파열증상, 흉부통증, 압박증상(폐를 압박하여 호흡곤란을 초래하고, 빈번하고 발작적이며 쇳소리가 나는 기침, 쉰 목소리 등이 나타남) 등이 있습니다.
-진단검사: 신체검진, 방사선검사(복부CT 등), 초음파검사
-치료와 간호: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내과적 치료: 안정성 복부대동맥류일 경우 매 6개월마다 복부 초음파 검진으로 동맥류의 크기를 사정해야 하며, 그 밖에 금연, 혈압조절, 지속적인 감시, 공복 시 지질량 조절, 스테로이드의 중단이 필요합니다. 동맥류의 크기가 작을 때는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동맥류가 커지고 파열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는 점을 환자에게 교육해야 합니다.
②외과적 치료: 수술, 혈관 스텐트 이식 등이 있습니다.
③수술 전 간호: 간호사는 대동맥류 수술에 앞서 환자의 불안, 복부 통증, 압통, 저혈압, 쇼크 등과 같이 파열이 임박함을 알리는 증상을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합니다. 전신마취를 하는 다른 수술처럼 관장과 금식을 시행하고,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 및 방법에 대해 교육합니다. 대동맥류의 파열로 인한 응급수술인 경우 다량의 수액을 정맥으로 주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④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는 동맥류 수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합니다. 복부 대동맥류의 경우 수술 후 24~48 시간 동안 중환자실에서 간호합니다. 폐, 심혈관, 신장, 신경상태 등을 집중적으로 관찰합니다. 수술 직후 혈역학적 안정성을 사정하기 위해 동맥관, 중심정맥압, 폐동맥관 등 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수술 중 혈류를 차단하므로 하지의 맥박과 신경학적 기능을 주의 깊게 자주 사정해야 합니다.
⑤수술 후 합병증: 심근경색증, 이식부위의 폐색과 파열, 저혈량증 또는 신부전증, 호흡부전, 마비성 장폐색, 저체온 등이 있습니다.
⑥대상자 교육: 내과적 치료만 받고 있는 복부 대동맥류 환자의 동맥류 크기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하고 고혈압 치료 및 금연의 중요성을 알려줍니다. 또 복부 팽만감, 복부 통증 같은 증상은 즉시 보고하도록 합니다. 수술 환자에게 활동제한, 상처간호, 통증관리 등에 대해 교육합니다. 수술 후 6~12주 동안 7~9kg 이상의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고 밀거나 당기거나 힘을 쓰는 일을 피하게 합니다. 또 테니스, 수영, 승마, 골프 등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흉부 대동맥류 환자의 경우 흉통, 등의 통증, 호흡곤란, 연하곤란, 쉰 목소리 등이 나타나면 곧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합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대상자 간호-백혈병 (1) | 2023.10.23 |
---|---|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정맥질환 (0) | 2023.10.22 |
혈관 장애 대상자 간호-고혈압 (2) | 2023.10.17 |
적응이론 Adaptation Model-칼리스타 로이 Callista Roy(1939~ ) (0) | 2023.10.16 |
간호이론의 성장기-도로시 오렘 Dorothea E. Orem(1914~ ) (0) | 2023.10.13 |